"대법, 병역거부 '여호와의 증인' 신도에 두번째 무죄 판결 ” 뉴스가 눈에 들어 왔다. 병역 거부 관련해서 두사람의 작가가 생각이 났다. 박노자와 장정일 이다. 박노자는 러시아 출신이며 귀화한 한국 인다. '당신들의 대한민국"과 "거꾸로 보는 고대사' 책을 통해 처음 만났다. '당신들의 대한민국'에서 양심적 병역 거부 문제를 다라고 있다. 짧은 지면 이지만 군대를 경험한 나에게 강렬하게 다가 왔던 기억이 있다. 다른 한사람은 장정일 이다. 장정일은 "장정일의 공부"와 "장정일의 독서 일기"로 만났다. 그의 '독서일기'를 따라 하려고 했다. 장정일의 공부에서도 박노자의 책을 다룬다.그도 영호와의 증인 신도로서, 당시에 치러지던 고등학교의 학내 군사 훈련(교련)을 피하고자 진학을 포기 했다고 한다.
박노자가 2001년, 2002년 2권의 헌사에 사용한 병역 거부관련 메시지이다.
아직도 감옥에 있는 모든 양심적 병역 거부자들에게 이책을 바친다. (당신들의 대한민국, 2001년, 박노자 )
반세기의 금기를 깨고 한국 군사주의에 행동으로 맞선 오태양 님께 이책을 바친다 (좌우는 있어도 위아래는 없다, 2002년, 박노자) * 불교도인 오태양씨는 양심적 병역 거부의 공론화에 불을 붙인 사람이다
그는 한국 사회의 온갖 고질 들이 군대로 부터 기인한다고 한다.
한국의 권이적인 사회에서 군대라는 것은 ‘보스’에 맹종할 ‘충견’을 기르고 훈련시키는 일종의 ‘양견장’ 역할을 한다. 군대 복무의 ‘교육적 효과’를 의식하는 것이다. 내무반에서 병장에게 얻어 맞지 않기 위해서 필사적으로 아첨을 떤 경험이 있는 사나이라면, 재벌 주인이나 국가 관료에게 ‘말대꾸’ 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하는 것이 한국 지배층의 상식인 듯 하다.
(당신들의 대한 민국, 박노자)
한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는 전근대적인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는 왜 폭력과 복종으로 규제된 군대를 개혁하지 못하는가 ? “한국 지배층이 그래도 징병제를 신성시 하고 성역화 하는 것은, 그들이 '노동력의 질’ 보다 ‘노동력의 충성심과 맹종’을더 중시한다는 것을 매우 잘 보여 준다. (당신의 들의 대한 민국, 박노자)
장정일은 이미 대체 복무가 시행 되고 있다고 한다.
대체 복무에 대한 우스개 가운데 하나는, 군대는 국민의 신성한 의무라고 세뇌된 사람들이, 엄밀하게는 양심적 ‘병역거부’가아닌 신앙에 따른 ‘대체 복무’ 지원자를 향해 ‘절대 그럴수 없다”고 강변하는 일이다. 그들은 대체 복무가 평등에 위배된다고말하고 있지만 실제로 많은 분야에서 대체 복무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현역에 부적합한 신체 소유자나 외동아들 생활보호 대상자 등이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하고 있으며, 교육 대학교를 나온 초등학교 교원 자격자는 낙도나 오지에서 교직을 행하는것으로 대체 복무를 실천하고 있다. 게다가 산업체에서 사병보다 높은 월급과 경력을 쌓으면서 병역을 대신하는 숱한 산업체근무 요원도 있지 않는가 ? (장정일의 공부, 2006년)
군대를 다녀와서 다시 군대 입영 통지서를 받는 꿈을 꾸곤 하였다. 악몽 이었다. 제대후 많은 시간이 흘렀다. 현재의 군대가 내가 경험한 군대보다 많이 개혁 되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