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현대 미술관에 다녀 왔다. 현대 미술관내 어린이 미술관에 박생광의 " 전봉준" 작품이 전시되어 있었다.
" 역사를 떠난 민족은 없다. 전통을 떠난 민족 예술은 없다. 모든 민족예술은 그 민족 전통위에 있다" 박생광
전시관 앞에 "파랑새" 이다.
박생광의 전봉준 작품
작년에 다녀 왔던 전봉준 장군고택 및 동학농민혁명기념관내 전시 작품 사진이다. 전봉준 장군고택
전봉준 장군고택 내부
서면 백산, 앉으면 죽산(동학혁명기념관)
우리가 의를 들어 이에 이른 것은 그 본뜻이 다른데 있지 아니하고 창생과 도탄 가운데서 건지고 국가를 반석위에다 두고자함이라. 안으로는 탐관오리의 머리를 베고 밖으로는 횡포한 강적의 무리를 내쫓고자 함이라 양반과 부호에게 고통을 받는 민중과 방백과 수령의 밑에서 굴욕을 받는 소리들은 우리와 같이 원한이 깊을 것이니 조금도 주저치 말고 이시각으로 일어서라. 만일 기회를 잃으면 후회하여도 미치지 못하리라.
우금치 전투(동학농민혁명기념관)'노찾사'가 부른 '이 산하에' 노래가 생각났다.
이 산하에
기나 긴 밤이 었거든 압제의 밤이었거든
우금치 마루에 흐르던 소리없는 통곡이어든
불타는 녹두 벌판에 새벽빛이 흔들린다해도
굽이치는 저 강물 위에 아침 햇살 춘춘다 해도 나는 눈부시지 않아라
기나 긴 밤이 었거든 죽음의 밤이었거든
저 삼월 하늘에 출렁이던 피에 물든 깃발이어든
목메인 그 함성소리 고요히 이 어둠 깊이 잠들고
바람부는 묘지 위에 취한 깃발만 나부껴 나는 노여워 우노라
폭정의 폭정의 세월 참혹한 세월에
살아 이 한몸 썩어져 이 붉은 산하에
살아 해방의 햇불 아래 벌거숭이 산하에
기나 긴 밤이 었거든 투쟁의 밤이었거든
북만주 벌판을 울리던 거역의 밤이었거든
아 아 모진 세월 모진 눈 보라가 몰아친다 해도
붉은 이 산하에 이 한 목숨 묻힌다 해도 나는 쓰러지지않아라
폭정의 폭정의 세월 참혹한 세월에
살아 이 한몸 썩어져 이 붉은 산하에
살아 해방의 햇불 아래 벌거숭이 산하에
무명농민군의 진혼(동학농민혁명 기념관)
동학농민 혁명군 지도자들(동학농민혁명 기념관)
전봉준, 손화중, 김개남, 최경선,최시형, 손병희
흔히 "농학농민혁명"의 지도자로는 전봉준을 떠올리지만 그외에 손화중과 김개남이 있어서 '동학 삼걸'로 일컫는다. 전봉준과 김개남사이에는 노선 대립이 존재했다. 전봉준이 조선의 국체는 보존한 채 고종주위의 벼슬아치들을 처벌하고 자신들이 실권을 잡는 개혁을 꿈꿨다면 김개남은 조선을 무너뜨리고 다른 나라를 세우는 혁명을 꿈꿨던 것이다.(시원하게 나를 죽여라. 이덕일)
새로운 의미가 주체와 대상에 새로운 내용을 부여 하듯이, 의미의 변화는 주체의 실존 양식의 변화 및 대상의 경험 양식의 변화를 수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만약 누군가 역사를 변화시키려고 한다면, 혹은 현존하는 사회를 변혁하고자 한다면, 그사람은 의미의 체계를 총체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역사적' 이라는 수식어는 그래서 함부로 붙여서는 안되는 표현이다. 역사적 사건이란 표현은 새로운 의미를 도래하게 한 사건에 대해서만, 그리고 역사적 인물이란 표현은 새로운 의미를 도래하게 만든 인물에 대해서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철학vs철학, 강신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