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렌 컬레의 이야기 중에 우물가의 일화가 있다. 두 살때 눈과 귀가 먼 헬렌켈러를 가르치던 설리번 선생은 한 편지에서 당시의 상황을 이렇게 적었다.

우리는 펌프로 갔다. 기거서 나는 펌프질을 하며 헬렌에게 컵을 입구의 아래쪽에 대고 있도록 했다. 찬물을 길어 컵을 채웠을때 나는 헬렌이 내민 손바닥에 w-a-t-e-r(물)이라는 글자를 썼다. 손바닥 위로 떨어져 흐르는 물의 차가운 느낌, 그것과 연관된 '물'이라는 단어는 헬렌을 놀라움으로 갑자기 멈추어 서게 했던 것 같다. 아이는 컵을 내려 놓고는 마치 뿌리박은 듯 우뚝 서 있었다. 아이는 이 물이라는 단어를 여러번 반복하여 썼다. 그러고는 웅크리고 앉아 땅을 만지작거리며 그 이름이 무언지를 물었다. 그리고 펌프와 울타리에 대해서도 물었다. 그 다음에는 자기 몸을 돌이켜서 내 이름을 물었다. 나는 아이에게 내 이름을 써주었다. 

이일화가 주용한 것은 이미 설리번이 헬렌컬러에게 'w-a-t-e-r(물)" 이라는 단어를 설명해주었다는 데 있다. 설리번은 그전에 물 담긴 컵을 가져와 ' 이것이 컵이며 그안에 든것이 물"이라고 설명해주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때는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그러던 헬렌켈러가 우물가에서 최초로 지적 반응을 보인 것이다. 헬렌 켈러는 왜 '우물'에서 최초로 반응을 보였을까 ? 거기에는 압도적인 양의 차이가 있었다. 우물가에서 많은 양의 물이 헬렌 켈러에게 마구 튀었을때, 물에 대한 감촉은 극대화 되었다. 그것은 조그만 컴데 담긴 물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 

그때 설리번이 '이것이 물이다!'라고 알려 주었고, 헬렌 켈러는 이축축하고 차가운 감촉을 갖는 것을 일컫는 무언가가 있음을 비로서 감지했다. 그후, 헬렌켈러는 연쇄적으로 지적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것을 일컫는 것이 있다면 다른 것을 일컫는 것도 있음을 직감한 것이다.  이것은 헬렌 켈러가 처음으로 지적 설계로 발걸음을 내딛는 매우 감종적인 장면이다.  설리번은 그전부터 늘 헬렌 컬러 곁에 있었다. 헬렌 컬러 역시 늘 자신의 주위에 누군가 맴돈다는 사실을 알았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지적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헬렌컬러는 그너갸 누구인지, 왜 늘 옆에 있는지 알지 못했다. 헬렌 켈러에게 설리번은 자신을 방해하고 귀찮게 하는 존재일 뿐이었다. 그런 설리번이 처음으로 지적으로 인식된것이다. 

이이야기는 지식과 현실의 관계를 잘 보여준다. 우물가에 헬렌켈러의 손을 흠뻑 전신 액체가 '물'이라 불린다는 것은 '지식'이었다. 그 지식이 체감되기 위해서는 현실과의 연관성이 풍부해야 했다. 우리의 지식도 마찬가지다. 많은 사람들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칸드, 사르트를 '안다'. 그러나 그들의 철학이 실생활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모른다' 그것은 안개에 휩싸인 것처럼 사람들의 기억속을 떠돌 뿐이다. 그것은 '생기없는 관념'이다. 자신이 아는 지식이 '생기없는 지식'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항상 그것이 현실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자문해야 한다. (인문내공 -박민영)

'분야별 책 읽기 > 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0) 2013.09.10
당신들의 대한민국2  (0) 2013.09.09
이것은 물이다.  (0) 2013.08.27
존재사유_하이데거  (0) 2013.08.21
실존주의_사르트르  (0) 2013.08.21

+ Recent posts